[뉴스특보] 이태원 압사 참사…악몽이 된 핼러윈<br /><br /><br />어젯밤 이태원에서 발생한 대규모 참사 관련 소식 계속 이어가겠습니다.<br /><br />현재 151명이 숨졌고, 부상자는 82명으로 허망할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희생됐는데요.<br /><br />이용재 경민대학교 소방안전관리과 교수 관련 내용 짚어보겠습니다. 어서 오세요.<br /><br /> 사고가 발생한 곳은 이태원 해밀톤호텔 옆 좁은 내리막길로 성인 5∼6명이 지나갈 수 있을 정도라고 합니다. 넓이로 계산하면 55평 남짓에 불과한데요. 그래서 더 인명피해가 컸다고 볼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출동한 소방대원과 경찰이 아래에 깔린 피해자를 빼내려고 했으나 사람과 사람이 뒤엉키면서 꽉 끼인 탓에 쉽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지는데요. 보통 압사 사고에서 스스로 대응할 수 있는 조치가 있습니까?<br /><br /> 10만 명이 넘는 현장 인파로 인해 사고 신고 접수 이후에도 제때 구급차 등이 현장에 접근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 이런 부분도 피해를 키웠다고 볼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소방관과 경찰뿐 아니라 환자의 친구와 시민까지 의식을 잃은 사람들의 가슴에 심폐소생술을 하고 팔다리를 주무르며 멎은 숨을 돌아오게 하려 안간힘을 쏟았는데요. 심정지의 상태의 경우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입니까?<br /><br />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이태원에 더 많은 인원을 배치했어야 한다는 일부 지적도 있었는데요. 경찰과 소방을 미리 배치했다면 이런 참사는 막을 수 있었을까요?<br /><br /> '이태원 압사 참사'를 주요 외신들도 잇따라 긴급 속보를 냈는데, 세계 각지에서 발생한 유사 사례들을 재조명한 기사도 나오고 있습니다. 우리나라도 압사 사고는 과거에도 발생한 적이 있었죠?<br /><br /> 행안부는 2017년 1천 명이 넘는 지역 축제를 개최할 경우 별도의 안전대책을 수립하도록 대책을 마련한 바 있는데요. 이번엔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도 나옵니다. 왜 그런 겁니까?<br /><br /> 참사 다음 날인 오늘부터 11월 5일 밤 24시까지 일주일이 국가애도기간으로 지정됐습니다. 참사가 발생한 서울 용산구는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됐는데요. 특별재난지역이 되면 어떤 매뉴얼을 적용하게 되나요?<br /><br /> 올해는 지난해와 달리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된 만큼 곳곳 행사 등에 많은 인파들이 모일 것으로 예상되는데요. 이런 참사가 반복되지 않기 위해선 어떤 선제 대응이 필요하다고 보십니까?<br /><br />#이태원 #압사사고 #대형참사 #심폐소생술 #안전사고 #특별재난지역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